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이용수  25

영문명
Phenomenolog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A mode of dialectic study between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the phenomenon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이근호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0권 제2호, 41~6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7.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상학은 이념적, 철학적 지향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러한 지향을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원용하려는 모든 종류의 노력들을 망라하는 용어이다. 전자는 주로 철학 내용의 체계로서의 현상학을 말하고 후자는 실천 현상학의 관심이 된다. 실천 현상학의 관점에서 볼 때, 결국 현상학은 현상들에 관한 연구이며, 그것들의 본질적 성격과 의미를 밝혀내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의 현상학의 관심은 사물이 우리의 의식 속에서 혹은 경험을 통해서 그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에 충실하고자 한다. 현상학에 기반 한 연구자는 체험에 관한 풍부한 기술을 통해서 그 체험 속에 담겨 있는 의미들을 포착하고 드러내고자 하며, 따라서 기본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즉, "이런 종류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그것은 또한 내게 어떻게 체험되는가?" 이와 같은 질문을 해명하는 데 있어서 실천 현상학은 "반성"과 "글쓰기"라는 두 가지 경로를 활용한다. 이 글은 실천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 논리 및 방법론적 구조들을 살펴보고, 현상학적 연구가 질적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Phenomenology is an umbrella term encompassing both a philosophical movement and a range of research approaches. They regard phenomenology not only as a certain philosophical system but also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tries to discuss and justify the necessity of this second stance (the so called "phenomenology of practice") and to explore some its methodological features. Applied to research, phenomenology is the study of life experiences or lifeworld-the world as we immediately experience it rather than as we conceptualize, categorize, or theorize about it. Phenomenology asks, "What is this experience like?" "How does the living world present itself to me?" In order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phenomenology of practice suggests two methodological axe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such as reflection and writing. Reflection (thoughtfulness) is the word that most aptly characterizes phenomenology itself and the practic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the ministering of thoughtfulness. At the same time, phenomenology edifies thoughtfulness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In sum, this study discusses the dialectic nature of phenomenological inquiry. Phenomenology seeks after overcoming the traditional barrier of the dichotomy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ory and practice, life and research, and uniqueness and universality. According to this spirit, we should not confine phenomenology only within a particular philosophical or logical system, but try to appropriate it as our fundamental orientation or style (that is, methodology) with which we explore our world and ourselve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실천 현상학의 요구와 논리
3. 실천 현상학의 방법
4. 실천 현상학의 글쓰기
5. 나오는 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근호. (2007).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 (2), 41-64

MLA

이근호.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2007): 4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