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 질문 능력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81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Assessment Tool for Students’ Questioning Ability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서수현 정혜승 옥현진 노 들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8권 제6호, 417~42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질문 능력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탐색해 나가는 출발점이다. 특히 불확실성이 급증하는 현대사회에서 자신과 사회에 필요한 질문을 생성하는 능력은 주도적인 학습자와 참여적인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이다. 이에 비해 우리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질문 능력을 체계적으로 함양하기 위한 교육 계획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질문 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질문 능력 자기진단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질문 및 질문 능력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충실히 검토하여 25개의 문항을 개발한 후 전국 초중등 학습자 11,1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총 6개 구인으로 구성된 평가도구를 확정하였다. 이 평가도구는 질문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계획의 초기 단계에서 학습자의 상태를 진단하거나 실행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등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자기보고식 평가도구의 지속적인 개선과 수행형 평가도구 개발의 필요성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Questioning ability is fundamental to recognizing problems and exploring solutions. In today’s increasingly uncertain society, the ability to generate relevant questions —both personally and socially, is essential for developing as an agentic learner and engaged citizen. Despite this,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systematic educational plans to foster students' questioning abilities within our educational system. As a foundational study to promote questioning education, this research developed and validated a self-assessment tool to measure students' questioning ability. A comprehensive review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questioning and questioning ability led to the creation of 25 items, which were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1,164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cross Korea through an online survey. Wi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the collected data, it proposes a final assessment tool comprising six constructs. This tool offers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diagnosing students' questioning abilities at the initial stages of instructional planning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question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research presents recommendations for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self-assessment tools and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methods.
목차
I. 서 론
II. 질문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인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ostering EFL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through Dialogic Pedagogy in Teacher Education
- 학생 질문 능력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사회과 환경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 수행: 담화 완성 과제를 중심으로
- 한국 고등학생의 디지털 영어 리터러시 역량과 정의적 태도의 관계 탐색 연구
- 문제중심학습(PBL)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Effects of Collocation Activities on Korean Students’ Collocation Knowledge and Confidence in Output Skills
-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수학 문항 분석: 내용 요소, 문항 간 연계성과 인지적 수준을 중심으로
- Exploring How Past Experiences with Science Shape Mexic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