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상담 사례관리 코칭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이용수 50
- 영문명
- Effectiveness Analysis of a Coaching Program for Job Counseling Case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임정훈 김태환 김강호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6권 제4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을 기반으로 직업상담 사례관리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상담사 465명을 대상으로 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직업상담 사례관리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결과 반응평가(만족도) 평균 4.24점, 학습평가 평균 3.06점(사전), 3.90점(사후), 행동평가 4.24점, 결과평가 4.04점으로 나타났다. 직업상담 사례관리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 역량 변화의 사전-사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PSS PROCESS Macro Model 6를 통해 분석한 반응과 결과의 관계에서 학습과 행동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상담 사례관리 코칭 프로그램의 일반화, 실험 설계를 통한 효과성 검증 및 5단계 평가 모형 적용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coaching program for job counseling case management based on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To this end, a coach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465 job counselors from private agencies implementing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from March to November 2023, and its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reaction evaluation) with the coaching program averaged 4.24 points, and the pre-post competency changes (learning eval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re-post change in case management competency for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was the highest at 0.89 points, and changes in all competenc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participants' reactio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ults, partially mediated by learning and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generalizing the job counseling case management coaching program, verifying effectiveness through experimental design, and applying a five-level evaluation model including ROI.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