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산층 전업주부의 평생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백화점 문화센터 강좌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thnographic study on the Lifelong education of middle class housewives: On the culture center of department store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백수옥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9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7.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산층 전업주부들이 백화점 문화센터 강좌에 참여하면서 행하는 평생학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기관인 백화점 문화센터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교육적 의미와 문화적 의미,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지로는 서울시내 소재 ‘사랑백화점’을, 참여관찰 강좌로는 ‘중국요리’와 ‘수채화반’을 선정하였다. 백화점 문화센터 학습은 문화센터 선정 시 ‘중층적 구별짓기’라는 문화적 행위에서 출발한다. 중산층 주부들은 다양한 평생교육기관 중에서 백화점을, 또 백화점 내에서도 중산층의 ‘아비투스(habitus)’에 부합하는 ‘특이하고 고급스러운 강좌들’이 개설된 특정 백화점 문화센터를 선호한다. 다양한 강좌 중 중산층 주부들은 주로 취업과 무관한 ‘인문교육’ 지향의 강좌를 선택한다. 문화센터를 학습공간으로 활용하는 중산층 전업주부들은 강좌 수강을 통해 친구를 사귈때 “성향”이라는 기준을 갖는다. 이 개념은 ‘학력’, ‘학벌’같은 제도화된 문화자본 외에 ‘체화된 문화자본’, 개인의 품격까지 포함하는 복합적인 의미이다. 백화점 문화센터 학습의 교육적 의미는 ‘취미’보다는 ‘일’로 의미부여를 하는 학습자 집단에 의해 더욱 잘 규명될 수 있다. 문화센터 학습을 ‘일’로 의미부여 하는 학습자들은 문화센터 내 ‘학습동아리’를 결성하고 학습공동체로 자율적 운영을 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전업주부들은 결혼 후 가족, 특히 자녀 교육에 경도되었던 자신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교육의 실존적 차원을 경험한다. 문화센터 학습의 문화적 의미는 학습자들의 표면적인 모습이라면 교육적 의미는 그 내면적 모습일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the learning of middle class housewives in the culture center of department stores. Middle class housewives choose certain programs in the culture center of department store by the motivation of “work” and “taste”. This study intends to proclaim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in analyzing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culture center clas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ethnographic interview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ed two cultural meanings and three educational meanings in the culture center learning. Middle class housewives make “multiple discrimination” to show themselves as the middle class. At the same time, they prefer the person who has the same ‘tendency and taste’ as their friend. As an educational meaning first, it is related to two motivations of the learner. One, is the participation as the “LL L”- to do meaningful work, the other is as the taste for getting pleasure. Second, it i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Third, is the question of “growth” through” self-reflection.”

영문 초록

목차

I. 시작하는 글
II. 연구현장과 연구방법
III. 백화점 문화센터 학습의 문화적 의미
IV. 백화점 문화센터 학습의 교육적 의미
V. 마치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수옥. (2006).중산층 전업주부의 평생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백화점 문화센터 강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9 (2), 1-23

MLA

백수옥. "중산층 전업주부의 평생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백화점 문화센터 강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9.2(2006):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