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arrative inquiry: A trend, issues, and possibilities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Ji Sook Yeom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9권 제1호, 99~1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의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 하나로서 그 인식론적 배경, 개념, 방법 및 고려 사항 등이 소개된 것은 코넬리와 클랜디닌(Connelly & Clandinin, 1990)이 함께 쓴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라는 논문을 통해서이다. 그 논문은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 방법론의 한 형태로서 인정받고 정당화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후 지난 15년간 내러티브 탐구는 국ㆍ내외의 질적 연구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4)는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규율 없는 사용이 앞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좋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코넬리와 클랜디닌이 개념화한 내러티브 탐구를 한국의 교육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내러티브'와 '내러티브 탐구'의 차이를 언급하였다. 내러티브는 문헌에서 일반적이고 다양하게 사용되는 용어를 의미하며 내러티브 탐구는 시간성(temporality), 사회적 상황(sociality), 장소(place),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등의 특성을 지닌 특정 방법론을 지칭한다.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 교사교육, 페미니스트연구, 카운슬링, 유아교육, 원주민 연구, 교육행정, 간호학,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한 국.내외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러한 연구들이 내러티브 탐구로서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국외연구들은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참여자와 연구자의 이야기가 구성된 반면,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그렇지 못했다. 내러티브 탐구를 교육연구에 적용할 때 생길 수 있는 딜레마로 연령이나 직위에 따른 위계 질서, 연구자와 참여자가 자신을 완전히 개방하고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 참여자의 이야기를 연구자가 다시이야기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의 국내 적용을 위해, 우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소개와 연구자들의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글쓰기는 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 둘 다를 포함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장르에서 여러 형태의 글쓰기로 구성된 연구 텍스트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연구텍스트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연구자와 참여자의 협력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러티브 탐구에서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Ⅱ. Definition of Narrative Inquiry
Ⅲ. Narrative Inquiry in Different Areas
Ⅳ. Narrative Inquiry for Future Research in Korea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i Sook Yeom . (2006).Narrative inquiry: A trend, issues, and possibilities. 교육인류학연구, 9 (1), 99-122

MLA

Ji Sook Yeom . "Narrative inquiry: A trend, issues, and possibilities." 교육인류학연구, 9.1(2006): 99-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