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세 유아의 혼잣말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ivate speech of three-year-old children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서현 김영옥 배지희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9권 제1호, 29~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난 3세 유아 혼잣말의 특징과 혼잣말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Van Manen(1997)의 관찰방법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2005년 3월부터 8월까지 약 25주 동안 매일 참여관찰을 통한 체험연구를 시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생활의 모든 일과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혼잣말은 '낯선 상황에 대한 탐색을 하기', '익숙해진 상황에서 즐거움을 느끼기', '활동 상황을 내면화하기'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들이 사용하는 혼잣말은 유아들의 행위를 안내ㆍ조직화ㆍ구조화하는 인지적 작용을 하면서 유아 자신을 조절하고 계획하는 자기 조절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ree-year-old children's private speech in their kindergarten life. Researchers used Van Manen's (1997) observation method, adapting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was used everyday for around 25 weeks from March to August 2005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Children's private speech, which is revealed in every routine of the class, has seen continuously in order of "exploring unfamiliar situation," "experiencing joy in familiar situation" and "internalizing activities." Furthermore, children's private speech carried out cognitive functions of guiding, organizing and structuring their behavior as well as self-regulating ones of adjusting and planning themselve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3세 유아 혼잣말의 특징
Ⅳ. 3세 유아 혼잣말의 의미
Ⅳ. 논의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현,김영옥,배지희. (2006).3세 유아의 혼잣말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9 (1), 29-55

MLA

서현,김영옥,배지희. "3세 유아의 혼잣말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9.1(2006): 2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