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립준비청년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8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for the Enhancing Self-Efficacy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유리 박소정 한경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1권 제6호, 1167~118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의지 강화를 위한 자기효능감에 관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심도 있게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는 7명의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을 위한 10회기 집단미술치료로 구성되었으며, 2023년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 내 작품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 전 회기의 녹취와 축어록,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회기 분석 및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6개 상위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상위 주제는 “자립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을 다루고 내적 변화를 이루고자 함”, “미술을 통한 낯선 도전에 적응하고 자신감을 얻음”, “이미지에 담긴 나의 감정과 모습을 마주하며 자기 이해를 깊이함”, “자기 수용을 통해 자립의지의 기반을 다짐”, “진정한 자립의 의미를 발견하고 의지를 강화함”,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공동체의 가치를 느낌”이다. 집단미술치료는 자립준비청년이 자기효능감 강화를 통해 자립의지를 공고히 하여 자립 후의 삶에 대한 의미와 용기를 강화해 나아가는 경험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self-efficacy designed to strengthen the will for independence among the youth and its meaning. The case study involved seven young individuals preparing for independence and executed ten group art therapy sessions focused on enhancing self-efficacy from August to October 2023.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photographs of artwork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transcripts of all sess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fter analyzing the data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study results yielded six main themes and sixteen sub-themes. The main themes were as follows: “Addressing psychological challenges from the pursuit of independence and achieving internal transformation,” “Adapting to new challenges and gaining confidence through art,” “Deepening self-understanding through confronting their emotions and reality reflected in images,” “Reinforcing the foundation of the will for independence through self-acceptance,” “Discovering the true meaning of independence and strengthening the will,” and, “Experiencing the value of community through group art therapy.”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demonstrating how group art therapy enhanced their self-efficacy preparing for independence to solidify their will and courage to live meaningful and independent liv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직 종사자의 실존주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및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술치료연구 제31권 제6호』
- 성소수자 대학원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자서전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자립준비청년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다계통위축증(MSA) 여성노인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청년 자영업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촉각매체 중심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입원 여성 청소년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 학대 피해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전자 정신건강 서비스(e-mental health service: eMHS)로서 디지털 미술치료 연구 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