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평등 그림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영문명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through Sexual Equality Picture Books on Children's Sex-role Stereotype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주경 오연주 김혜옥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9권 제1호, 137~16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평등 그림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성평등 동화만을 들려주는 경우와 동화를 들려준 후 통합적 활동을 실시한 경우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의 차이를 밝히며 그 교육적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성평등 그림동화 개입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에 있어 긍정적 효과를 얻었으며, 성평등 동화를 들은 후 관련 통합적 활동 실시는 긍정적 효과의 지속성을 높여주었다. 남․녀아 모두 성역할 고정관념의 완화 효과는 균등하였으며, 지각조망과 타인의도조망을 제외한 나머지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효과도 균등하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조망수용능력의 향상 효과가 많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through sexual equality picture books on children's sex-role stereotype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 subject consisted of 120 children, 56 boys and 64 girls, and 60 children of 4 years old and 60 children of 5 years old. The subject were subdivided into 3 groups: a control grope and two experimental groups(experimental group I and II).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roceeded normal activity according to usual activity plan in kindergarten.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group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 were involved in sexual equality picture book listening activity a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were provided an additive integrated activities after the sexual equality picture listening activity.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istening to sexual equality picture books was effective to reduce their sex-role stereotype, and providing integrated activities after listening to sexual equality picture books increases consistency of its positive effect Second, listening to sexual equality picture books was effective to improve their perspective-taking ability in terms of perspective ability of others' thought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of others' intention. Moreover, providing integrated activities increases these educational effects. Third, listening to picture books and activities after listening to picture books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role stereotype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with regard to sex of children. But with regard to ages, 5 years children showed more improved perspective-taking ability than 4 years children. Consequently, we can conclude that listening sexual equality picture books is effective to reduce children's sex-role stereotype and to improve their perspective-taking ability. Moreover integrated activities after listening book's increase these positive effectiveness on childre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경,오연주,김혜옥. (2008).성평등 그림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9 (1), 137-165

MLA

이주경,오연주,김혜옥. "성평등 그림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9.1(2008): 137-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