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장 읽기 방법을 통해 살펴본 유아들의 정보그림책 이해
이용수 2
- 영문명
- Understanding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rough Young Children's Pretend Read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5권 제2호, 63~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이 정보그림책의 정보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나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그림책들과 픽션그림책에서 유아들의 가장 읽기(pretend reading) 반응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비교하였다. 원문을 제거하여 그림만 있는 그림책을 글이 있는 것으로 가장하여 읽기 과제를 주었을 때 유아들은 실제 원문을 경험하기 이전에도 이미 그림책 간의 장르적 차이를 구분할 수 있었다. 원문을 경험한 이후의 가장 읽기에서는 그 주제와, 내용, 그리고 형식에 대하여 더 적절히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원문을 경험한 이후에도 그림정보에서 제공된 이야기체 요소들에 대한 영향을 통제하기 어려웠는데, 논의에서는 이러한 영향의 원인을 유아들의 정보통제능력, 전문지식의 적용능력, 그리고 설명체 글의 구조에 대한 지식의 부족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ocess and the influence effect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5-year-olds were asked to do pretend reading, listening, and do pretend reading again in order to compare their understanding two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nd a fictional book. The result showed that they could distinguish nonfiction books from fiction book before real text experience, and they could make appropriate understanding for contents and formats of each picture book after real text experience. They, however, could not control efficiently the effects of narrative factors in their two-before and after real text experience-pretend readings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rough the results, hypothetical reasons why young children have not enough abilities to control or regulate narrative factors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were suggested. Also,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