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전래동화 속에 나타난 '노인'의 특성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n Characteristic of The Olds in Korean Fairy Tal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혜순 조인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4권 제2호, 79~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전래동화 속에 나타난 노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유아들에게 주로 소개되고 있는 한국의 전래동화 50여 편 중 노인이 등장인물로 나타나는 작품 30 여 편을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기준에는 노인의 이미지(성격, 외모), 등장인물로서의 비중, 노인의 신분이나 종사업종, 가족관계, 경제적인 생활수준, 성역할 등이 포함되었다. 우리나라의 전래동화속의 노인에 대한 특성은 부정적인 시각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즉 외롭고 소외되고, 의존적이며 가난하며 성 상투화되어 묘사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olds in Korean fairy tales. 30 fairy tales out of 50 were selected to be analysed for the study. 6 categories such as the olds` image, number of appearance, job & social position, family relationship, economic status, gender were adopted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old. In contrast to the number of the study o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olds i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the one of study on the same theme in the korean fairy tales is very rare. Preceding study showed that the image of the old was negatively underestimated, which represented sam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mage of the old were described as a negative one. Personality, physical appearance of the old were represented as a comic and ugly one. 2.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the old in korean fairy tales was low. The old was not depicted as a heroine or hero but supporting character. 3. The job position, social status of the old were various such as agriculture, fishing, forestry, blacksmith, shoemaker, laborer, and inn owner. Some of the old were showed as playing a role of yangban(nobleman). 4.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old was depicted as living alone without children and offspring. Some of the old were represented as living without spouse. 5. The economic status of the old was poor at large, though some of them were rich but avarice. 6. The sex role of the old was stereotyped such as patricentric one. The old male was working outdoor differently from the old female staying and working at home. Positive image of the old i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should be introduced to the children to be faced with living positively for the future aging society.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의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