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유물론적 회절과 생성을 통한 다섯 교사들의 생태전환교육과정 이야기

이용수  18

영문명
Five Teachers’ Ecological Transition Curriculum Stories through New Materialist Diffraction and Making-with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엄수정 황순예 문민지 우라미 이은혜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6권 제4호, 73~11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섯 명의 연구자들과 다섯 명의 현직 교사들로 이루어진 실뜨기 탐구 공동체가 신유물론을 토대로 한 생태적 전환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재)형상화 하였는지에 주목한다. 우리 교사-연구진은 사전에 결정된 목표에 도달하도록 정해진 길을 따르는 구조적이고 선형적인 방식의 탐구가 아니라, 탐구 여정에서의 마주침과 얽힘, 회절과 차이에 주목하고 그에 응답하며 길을 만들어가는 탈중심적이고 관계적인 방식의 탐구를 실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교사-연구진들은 함께 만나고 대화하며 회절하였으며 생태전환교육과정의 사유와 실천의 이야기를 따로-또-함께 생성하였다. 특히, 그 이야기들은 교사들이 체제 내부에서 새로운 상상을 시도하고, 촉수적인 사유를 실천하며 몸에 새겨진 흔적을 (재)감각하는 가운데 여러 행위자들과 실뜨기를 이어가고자 하며, 지구와 함께 춤을 추고, 이미 얽힌 세상이 들어올 틈이 있는 교육과정을 만들고자 함을 보여준다. 생태전환교육과정을 실천하려는 다른 교사들에게 본 연구는 다음의 일곱 가지 제안을 한다: 1) ‘텃밭 가꾸기’를 넘어 상상하자. 2)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수많은 행위자들에 주목하자. 3) 중간에서 시작해도, 가다가 돌아가도 괜찮다. 4) 상상하고 실험하고 조율하며 교육과정 생성과정에 참여하자. 5) 새로움을 출현시키는 여백과 틈을 남기자. 6) 제약을 새로운 교수·학습의 조건으로 삼자. 7) 예술이 갖는 감응의 힘을 감각하자. This research attends to how the Inquiry Community of String Figures―consisting of five curricular scholars and five in-service teachers―(re)configures ecological transition curriculum based on post-humanist new materialism. We, scholars-teachers, engaged in the inquiry in a non-centralistic, relational way by attending to our encounters, entanglements, diffractions, and differences and by creating paths responding to them. Through the experiment, teachers-scholars diffracted through encountering and conversing together and created together-apart stories of thinking and practicing of ecological transition curriculum. The stories express how teachers were attempting to re-imagine the existing system, create string figures with various agents while enacting tentacles of thoughts and (re)sensing the marks on one’s bodies, dance with the earth, and create curriculum in ways to embrace the already entangled world. We provide suggestions for other teachers interested in creating and practicing ecological transition curriculum: 1) imagine beyond gardening activities, 2) attend to various agen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activities, 3) remember that it is okay to begin in the middle and take a detour, 4) participate in creating curriculum by imagining, experimenting, and attuning, 5) make space and time from which newness can emerge, 6) take constraints as conditions for new teaching and learning, and 7) sense the affective power of the arts.

영문 초록

목차

1.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요구와 새로운 실험
2. 신유물론의 관계적 존재론
3. 실뜨기 탐구 공동체에서의 회절과 생성
4. 교사들의 이야기
5. 생태전환교육과정의 (재)형상화
6. 또 다른 생태전환교육과정의 생성을 위한 일곱 가지 제안
7. 실을 건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수정,황순예,문민지,우라미,이은혜. (2023).신유물론적 회절과 생성을 통한 다섯 교사들의 생태전환교육과정 이야기. 교육인류학연구, 26 (4), 73-113

MLA

엄수정,황순예,문민지,우라미,이은혜. "신유물론적 회절과 생성을 통한 다섯 교사들의 생태전환교육과정 이야기." 교육인류학연구, 26.4(2023): 73-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