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영화의 이해와 그 글쓰기의 의미
이용수 3
- 영문명
- Comprehension of Educational Films and Significance of Ecritur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송희복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7권 제1호, 73~9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영화는 교육을 소재로 하거나 배경으로 삼은 영화 중에서 인간에 관한 진지한 물음을 제기하는 영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교육 영화는 인격과 인간성과 인간의 품위와 이성적인 공동선의 실현 등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교육영화의 유형과 그 성격에 관해 간단히 밝히면 다음과 같다. 교사 소재형 교육영화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를 중심 제재로 삼은 경우의 영화이며, 성장기경험형 및 캠퍼스드라마형 교육 영화는 교육의 대상인 학생이 사건 구조의 중심이 되거나 학교를 배경으로 얘깃거리를 풀어가는 경우의 영화이며, 문제제기적 대안형 및 반사회적 일탈형 교육영화는 주체·대상 못지 않게 사회적 현실의 장(場)과 의미가 부각된 경우의 영화이다. 본고에서 구체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영화 작품 몇 편을 선정한바, 장애 소녀를 지도하는 특수학교 교사의 이야기를 그린 「작은 신의 아이들」, 세대와 인종을 초월한 우정을 주제로 한 「파인딩 포레스터」,한 소년의 선행이 죽음을 통해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내용의「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 및 그 밖의 몇 편의 한국 영화 등이 그것이다.
Educational films are the movies which deal with education that is relevant to humane growth. This notion is, of course, just a provisional term. If it is necessary to add some notional expression and description, educational films are some, that suggest serious questions about human being, in movies which treat education as material or a background. This thesis is main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films are divided into five types: teacher material type, growing period experiential type, campus dramatic type, problem-suggesting alternative type and antisocial deviant type. I explained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this thesis. Second, I analyzed five movies which are regarded as model texts of education-films. The movies are 「Children Of A Lesser God」, 「Finding Forrester」, 「Pay It Forward」and two other Korean movies. Third, I think that education-films should not be maintained for simply showing to audience, but be extended into the category of humane studies. The tru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films lies, on one hand, in seriously asking about human being relating to educational problems or in improving the conditions of humane lives in order to make people develop in right ways.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film ecriture is in creatively reproducing meanings by approaching new paradigms of pedagogy.
영문 초록
목차
I. 문제제기: 무엇이 과연 교육영화인가
II. 교육영화의 유형과 그 성격
III. 교육영화에 관한 글쓰기의 실제
IV. 맺음말: 왜 교육영화인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