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영향에서 상사관계 및 동료관계의 조절효과: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직과 교육전문직 비교

이용수  66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and Colleagues Colleagues Ex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 Comparison Betwee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Professional Jobs at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김선이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3권 제3호, 23~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청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특히, 상사관계와 동료관계에 따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무원 474명(교육행정직 377명, 교육전문직 9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 단순 기울기 분석을 통해 직군별 상하 집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청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졌고, 이들 관계에서 상사관계와 동료관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상사관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조절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전체 집단 10%, 교육행정직 8%, 교육전문직 26%). 또한, 동료관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서도 조절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전체 집단 12%, 교육행정직 12%, 교육전문직 32%). 본 연구 결과는 교육청 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상사관계와 동료관계의 사회적 지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교육행정직과 교육전문직의 직군별 특성을 반영한 조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public officials in the Office of Education.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d how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differ depending on leader and colleague exchanges i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data from 474 official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and a simple slop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groups for each job category.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 office official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job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were leader and colleagues exchanges.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of the Office of Education official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Furthermore,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leader and colleague exchan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 and colleague exchanges between the higher and lower groups(total group 10%,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oup 8%, education professional group 26%).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ague exchanges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s(total group 12%,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oup 12%, education professional group 3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from leaders and colleagues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particular, it highlights the need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reflect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job groups, such as education administrative staff and education specialis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이. (2024).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영향에서 상사관계 및 동료관계의 조절효과: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직과 교육전문직 비교. 직업교육연구, 43 (3), 23-50

MLA

김선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영향에서 상사관계 및 동료관계의 조절효과: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직과 교육전문직 비교." 직업교육연구, 43.3(2024): 2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