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쟁점과 과제
이용수 131
- 영문명
- Educational Issues and Task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Han, Jin ho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5호, 155~18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어떤 전개 맥락을 갖고 교육적 가치가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한 뒤, 이를 토대로 현재 창의적 체험활동의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여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전개 맥락을 특별활동과 재량활동 차원에서 살펴보았고,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인 사회, 학습자, 교과 차원에서 내재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해 ‘창의적이거나 체험 중심인가?, 설계・운영 과정에서 자율성이 확보되는가?, 교육적으로 본연의 가치를 발휘하는가? 다른 교육과정 정책들과의 관계는 어떠한가?’라는 질문으로 쟁점화하여 논하였다. 그리고 쟁점에 대한 시론적 대안으로써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질 관리를 위한 성취기준을 마련한다. 둘째, 교육과정 설계・운영 과정에서의 실질적 자율성을 부여한다. 셋째, 자율성을 완성하는 전문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 내・외・간의 연계와 환경 조성에 관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한다. 다섯째, 창의적 체험활동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확충한다. 여섯째, 다른 교육과정 정책들과 분명하게 관계 정립을 한다. 이를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과 전문성이 집약되는 이 공간이 좀 더 특색을 발휘하고 교육적 가치를 실현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질을 개선하게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context and educaitonal valu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to identify and discuss the current issues and tasks related to these activities. First,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as examined in terms of special activities and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the intrinsic value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ety, learners, and subjects, which are the main factors in determining the curriculum. Based on this, the issues were discussed with questions such as “Is it creative or experience-centered?”, “Is autonomy ensur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process?”, “Does it demonstrate its intrinsic educational value?”, and “What is its relationship with other curriculum policies?”.
As preliminary alternatives to these issues, the following tasks were proposed. First, establish achievement standards for minimum quality managemen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econd, grant substantial autonomy in the desig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urriculum. Third, provide policy support for professionalism that completes autonomy. Fourth, conduct active research on the linkage and environmental creation within and outside the curriculum. Fifth, expand the online support system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ixth, clearly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other curriculum policies . This is meaningful in enhanc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by making this space, where th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curriculum are concentrated, more distinctive and realizing its educational value.
목차
Ⅰ. 서론
Ⅱ. 창의적 체험활동의 전개 맥락과 교육적 가치
Ⅲ. 창의적 체험활동의 쟁점
Ⅳ. 창의적 체험활동의 과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 예측 요인 분석
- Bruner의 교육적 관점에 비추어 본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MACO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사의 특성이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마인드셋의 종단적 매개효과
- ‘깊이 있는 학습’에서 ‘개념’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비판적 탐색 : 들뢰즈의 ‘개념의 교육학’을 중심으로
- 학생들은 왜 가만히 있을까? 재난 상황에서 권위관계와 상호주관적 인식의 기능
-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쟁점과 과제
-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용 AI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글쓰기 역량 평가에서 ChatGPT 활용 가능성 탐색 : 논술형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