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특성이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마인드셋의 종단적 매개효과
이용수 116
- 영문명
- The Effects of Teacher Characteristics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the Elementary to Middle School Transition :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Mindse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원례 한천우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5호, 33~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마인드셋을 매개로 교사의 특성이 그들의 성취목표에 미치는 종단적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 1∼3차년도 자료 중 결측치와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6,41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사전 기초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5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원과 교사열의는 초등 6학년 시기의 성장 마인드셋에는 정적인 영향, 고정 마인드셋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5학년이 지각한 교사지원은 중1 시기의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에, 교사열의는 숙달 접근목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초등 6학년의 성장 마인드셋은 중1 시기의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고정 마인드셋은 숙달접근목표에 유의한 부적 영향과 수행접근목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넷째, 초등 5학년이 지각하는 교사지원과 교사열의가 중1 시기의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마인드셋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의 긍정적인 특성(교사지원, 교사열의)이 시간과 학교급의 차이를 두고도 학생들의 마인드셋과 숙달접근목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학교 현장에서 긍정적인 교사 특성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 마인드셋이 숙달접근목표와 함께 수행접근목표도 유의하게 예측함을 확인하여 관련 변인들과 비일관적인 견해를 보이던 수행접근목표 요인에 대한 이해를 넓힌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eacher characteristics on students’ achievement goals through the mindset of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Data from 6414 students from KELS 2013 years 1-3 were used. Preliminar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 were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eacher support and teacher enthusiasm perceived by 5th grade had a positive effect on growth mindset and a negative effect on fixed mindset in 6th grade. Second,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5th grade directly affected the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s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teacher enthusiasm directly affected only the mastery approach goal. Third, growth mindset in 6th grade had a positive effect on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s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fixed mindset had a negative effect on mastery approach goal an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pproach goal. Fourth, the mindse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and teacher enthusiasm perceived by 5th grade on the achievement goals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is stud 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positive teacher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 setting and expanded the understanding about performance approach goal factor, which has been inconsistent view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 예측 요인 분석
- Bruner의 교육적 관점에 비추어 본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MACO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사의 특성이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마인드셋의 종단적 매개효과
- ‘깊이 있는 학습’에서 ‘개념’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비판적 탐색 : 들뢰즈의 ‘개념의 교육학’을 중심으로
- 학생들은 왜 가만히 있을까? 재난 상황에서 권위관계와 상호주관적 인식의 기능
-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쟁점과 과제
-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용 AI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글쓰기 역량 평가에서 ChatGPT 활용 가능성 탐색 : 논술형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