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runer의 교육적 관점에 비추어 본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MACO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206
- 영문명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ncept-based Curriculum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Bruner : Focusing on a Comparison with MACO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한수현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5호, 65~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념기반 교육과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해 MACOS 교육과정 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교육과정은 학습 과정을 중시하며, 핵심 개념의 깊이 있는 이해와 실생활 적용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자료 활용 목적, 교사 전문성 개발 방식, 평가 방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에 기반해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한계를 보완할 방법을 모색하였다. 첫째, 개념 형성 과정에서의 학습 부족은 MACOS의 자료 제공 방식을 참고하여 보완할 수 있다. 둘째, 교사 재교육의 등급화 우려는 MACOS의 자기 성찰 체크리스트 방식으로 완화할 수 있다. 셋째, 평가에서 학생 배경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MACOS의 점수 보정 방식을 반영해 개선할 수 있다. 넷째, MACOS의 다양한 평가방식을 활용해 학생의 평가 경험을 확장할 수 있다. MACOS는 시대적, 문화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는 개념기반 교육과정과의 유사성은 오늘날 이 교육과정의 심도 있는 이해와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유사성은 지식과 사고의 확장을 함께 강조한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의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과 핵심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균형 있게 평가하고, 학습 전이를 촉진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를 제시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oncept-Based Curriculum (CBC) by examining MACOS curriculum evaluation materials. Both curricula emphasize the learning process and aim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core concepts. Howev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purposes of material utilization, method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ssessment approaches. This study explored way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CBC by integrating elements from MACOS. First, the lack of focus on the concept formation process in CBC can be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MACOS’s methods of providing materials. Second, concerns about the hierarchical degradation of teacher retraining can be mitigated through MACOS’s self-reflection checklist approach. Third,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student background diversity in assessments can be improved by incorporating MACOS’s score adjustment methods. Fourth, the evaluation experience can be enriched by utilizing various assessment methods from MACOS, in addition to student self-assessment rubrics. Although MACOS has limitations due to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it reflects various aspects of CBC and contributes to rethinking the fundamental purposes and directions of curriculum evaluation. Furthermore,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MACOS and CBC, a new curriculum model that emphasizes both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can be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uggesting a curriculum design that balances the evalu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ies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ore concepts, thereby promoting effective learning transfe
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육과정 운영 층위에 따른 MACOS 교육과정 평가 분석
Ⅳ. MACOS와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 예측 요인 분석
- Bruner의 교육적 관점에 비추어 본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MACO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사의 특성이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마인드셋의 종단적 매개효과
- ‘깊이 있는 학습’에서 ‘개념’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비판적 탐색 : 들뢰즈의 ‘개념의 교육학’을 중심으로
- 학생들은 왜 가만히 있을까? 재난 상황에서 권위관계와 상호주관적 인식의 기능
-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쟁점과 과제
-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용 AI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글쓰기 역량 평가에서 ChatGPT 활용 가능성 탐색 : 논술형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