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기술이 농촌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딜레마와 그 최적화 경로—저장성 원청현을 예로 들어보자

이용수  65

영문명
The Dilemma and Its Optimization Paths for Digital Technology to Enable Rural Education—Example: Chengcheng, Zhejiang Province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임연 이준문 장홍비 황리나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4권 제2호, 63~7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은 농촌 교육의 모습을 점차 변화시키고 전례 없는 발전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농촌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저장성 원청현을 사례로 디지털 자원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초점은 농촌 교육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교육 균형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술적 발전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도전과 문제점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 후 원청현의 농촌 교육은 비효율적인 디지털 자원 활용, 취약한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불충분한 디지털 기술 혁신의 탐색과 같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디지털 교육 자원의 중복 구매와 비효율적인 사용, 교사들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낮은 적응력 등이 주된 문제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들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농촌 교육의 디지털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최적화 경로를 제시하며,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Digital technology is progressively transforming rural education and offering unprecedented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ru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usage of digital resources in Wencheng County, Zhejiang Province, as a case stud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contributes to balanced educational development in rural areas and to identify the key challenges and issues that accompany such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study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issues in Wencheng County's rural education system, including inefficient use of digital resources, inadequate digital skills among educators, and insufficient exploration of digital innovation. In particular, the redundant purchasing of digital educational resources and the inefficient utilization of these resources, coupled with the low adaptability of teachers to digital technologies, emerged as major concerns. The study proposes strategies to address these issues. Ultimately, it presents an optimized pathway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digitalization in rural education and offers policy insights that could be applied in other regions to achieve similar improvements.

목차

Ⅰ. 서론
II. 원청현의 디지털 교육 서비스와 그 내포
III. 디지털 교육 서비스 시스템 아키텍처 실현 경로
Ⅵ.디지털 기술 교육 혁신의 초기 성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연,이준문,장홍비,황리나. (2024).디지털 기술이 농촌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딜레마와 그 최적화 경로—저장성 원청현을 예로 들어보자.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4 (2), 63-76

MLA

임연,이준문,장홍비,황리나. "디지털 기술이 농촌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딜레마와 그 최적화 경로—저장성 원청현을 예로 들어보자."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4.2(2024): 6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