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결정 모형 탐색: 통합적 순환 모형 개발

이용수  82

영문명
Exploring the Policy Decision Model for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이상수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4권 제2호, 43~6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이 결정되고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교육과정 자율화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으로서 통합적 ‘ 순환모형’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의와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정책결정 모형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토대로 대안적 교육과정 정책결정 모형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통합적 순환 모형에 대해 탐색하였다. 여기서는 모형 정립의 조건 탐색과 모형의 기본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 통합적 순환 모형을 구안하였다. 통합적 순환 모형은 거시 모형과 미시 모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들을 통합한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논의 결과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교육과정 정책 모형의 필요, 국가에서 부여한 자율성으로 인한 교육현장의 국가에 대한 자율 요청 행위의 촉진, 외적 개입의 배제와 내적 통제가 확립된 자율성의 개념화가 필요하였다. 이들 논의를 통해 모형 적용의 일반화, 교육과정 질 관리, 검증을 통한 보완 등의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as a model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curriculum autonomy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fter Korea's curriculum autonomy policy is determined. To this end, first,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autonom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were examined. Second,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curriculum policy-making model was discussed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policy-making model. Third, the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explored. Here, the condition search for model establishment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model were presented, and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devised. The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divided into a macro model and a micro model, examined, and presented as an integrated model.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t was necessary to conceptualize the autonomy in which the self-requesting behavior of the curriculum to the state was promoted due to the autonomy granted by the state, and the exclusion and internal control of the curriculum were established. Through these discussions, suggestions such as generalization of model application,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through verification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의와 특징
Ⅲ. 정책결정 모형과 대안적 모형 필요
Ⅳ. 통합적 순환 모형의 탐색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수. (2024).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결정 모형 탐색: 통합적 순환 모형 개발.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4 (2), 43-61

MLA

이상수.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결정 모형 탐색: 통합적 순환 모형 개발."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4.2(2024): 4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