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작음악극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70
- 영문명
- The Effect of Creative Musical on School Adaptation and Self-efficac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김현정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4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작음악극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 교육청 정서행동평가 및 Wee클래스 상담교사를 통해 학교부적응 위험군으로 분류된 청소년 229명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23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주 1회씩, 회기 당 100분으로 구성하여 총 15회기로 진행되었다. 창작음악극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에 김아영(2002)의 학교적응척도, Sherer 등(1982)의 자기효능감 척도(SES)를 실시하고, 대응 t 검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의 학교적응(p< .05)과 하위요인인 교우관계(p< .05), 학교수업(p<.05), 학교규칙(p< .05) 모두 창작음악극을 실시하기 전에 비해 사후에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연구대상의 자기효능감(p< .01)과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p< .01), 사회적 자기효능감(p< .05) 또한 창작음악극 실시하기 전에 비해 사후에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작음악극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reative musical on school adaptation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students classified as suspected school maladjustment groups through Wee class counselors and students who were judged as at-risk groups as a result of the emotional behavioral evaluation test conduc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period consisted of 10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rom May 1st to October 31st, 2023, and a total of 15 sessions were hel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 self-efficacy scale (SES) of Kim A-young (2002)'s school adaptation scale and Sherer et al. (1982)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reative musica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rresponding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school adaptation (p<.05) and the sub-factors of companionship (p<.05), school class (p<.05), and school rules (p<.05) all increased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creative musical compared to before. The subject's self-efficacy (p<.01) and the sub-factors of the study, general self-efficacy (p<.01), and social self-efficacy (p<.05) also increased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creative musical compared to before it was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revealed that creative musical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chool adaptation and self-efficac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