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격유형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용수 214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coaching using personality types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박건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6권 제2호, 4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하여 성격유형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선행 연구문헌을 탐색하고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성격유형을 코칭에 활용하는데 있어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코칭의 발전에 이바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문헌 중 코칭과 각 성격유형이 함께 논의된 연구문헌을 탐색하여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최종 14편의 문헌을 선정하고 이를 연구목적, 연구주제, 연구방법, 주제어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분야에서 활용되는 성격유형은 대부분 에니어그램으로 치중되어 있었다. 분석 대상 논문 14편 중 12편이 에니어그램과 관련된 논문이었다. 둘째, 코칭 관련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코칭에 대한 연관성이 매우 부족하였다. 대부분의 분석대상 논문이 성격유형 특히 에니어그램 유형 자체를 검증하거나 설명하는데 치중하고 있었으며 코칭에의 활용에 대한 내용은 매우 부족했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이 문헌연구법과 질문지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문헌연구법이 가장 많았고 질문지법이 뒤를 이었다. 넷째, 척도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문의 경우 개발 이후의 후속연구가 부족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코칭에 있어서 성격유형 활용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와 다양한 성격유형을 활용한 코칭프로그램의 적극적 개발 그리고 코칭현장에서의 성격유형 활용의 저변화 등과 같은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use of personality types in coaching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y identifying research trends and suggesting direction for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personality types in coaching, it ultimatel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aching practices. To this end,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2004 and 2024 that discussed coaching and personality types were examined, leading to the selection of 14 papers that met the study purpose. The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objectives, topics, methods, and keywor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neagram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personality types in coaching, with 12 out of 14 papers focusing on it. Second, although these papers were related to coaching, most had limited relevance to actual coaching practices and mainly focused on verifying or explaining personality types, especially the Enneagram, with little information on their application in coaching. Third, most studies employed literature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with the literature reviews being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 Fourth, there was a noticeable lack of follow-up research in papers on scale or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such as revitalizing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personality types in coaching, actively developing coaching programs using various personality types, and addressing inconsistencies in the use of personality types in coach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