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모의 스트레스와 아동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78
- 영문명
- The Effects of Mother-Child Group Therapy Programs on the Stress Levels of Mother and Children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김현조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6권 제2호, 17~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아동의 스트레스에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S시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와 어머니로 구성된 총 9쌍의 모-아 집단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20일부터 2024년 1월 17일까지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SPSS 28.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해 빈도분석, 대응 t-검증, 비모수통계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였다. 분석 신뢰도는 95%이며, 유의도는 0.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 스트레스의 사전-사후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사전보다 사후에 상대적으로 낮은 스트레스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모의 스트레스의 사전-사후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사전보다 사후에 상대적으로 낮은 스트레스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모의 스트레스와 아동의 스트레스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 및 학교 영역의 경우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 종결 후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한 포커스그룹 인터뷰에서 모와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아동의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질적인 보고에 의하면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모-아 집단 치료놀이를 진행한 것과 양적 통계 분석 뿐 아니라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을 질적으로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 mother-child group therapy play program on the stress levels of both mothers and children. To this end, a total of 9 pairs of young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S Cit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rom September 20, 2023 to January 17, 2024. SPSS 28.0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paired-sample t-test,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children showed relatively lower stress levels in the posttest,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 mothers also exhibited lower stress levels in the posttest, but this difference was similarly insignificant. Thir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others’ stress levels and the children’s stress in relation to teachers and school. Fourth, the focus group interview at the end of the group therapy play program revealed positive changes in stress relief for both mothers and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the mother-child group therapy play program did not yiel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stress, the qualitative feedback indicated positive changes. This study is also notable for implementing mother-child group therapy play in a community setting and conducting a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mothers’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longside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