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인과 청인이 생각하는 수어의 진정성: 소통을 통한 정체성의 발견

이용수  52

영문명
The Authenticity of Sign Language as Perceived by Deaf and Hearing People: Discovering Identity Through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신홍임
간행물 정보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23~13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동안 사회언어학에서는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언어의 진정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언어의 진정성은 언어사용자가 지각하는, 오래 지속되는 언어 고유의 특성이다. 또한 언어의 특성이 사회적 삶에서 의미있는 기능을 수행할 때, 언어의 진정성은 부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어의 진정성에 대한 수어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하고자 농인(n=3)과 청인(n=6)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어의 진정성에 대한 질문은 수어습득시기와 학습경험, 수어와 다른 언어의 공통점, 수어가 다른 언어와 차별화되는 고유 특성, 수어를 자신의 언어로서 느낀 긍정적 경험 및 수어사용과 정체성 형성의 관계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수어사용자는 수어가 시각적 언어로서 다른 언어와 차별화되어 갖는 이득, 자신이 타인과 소통하며 정체성을 찾는데 중요한 도구,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도구, 수어를 통해 농사회와 연결되는 의미에 대해 보고하였다. 이 결과는 수어가 다른 음성언어와 같이 수어사용자에게 언어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 진정성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In the field of sociolinguistics, research on the authenticity of language has primarily focused on spoken languages. The authenticity of a language refers to the inherent, long-lasting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as perceived by its user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users’ perceptions of the authenticity of a language and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ign language users regarding the authenticity of sign languag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Deaf individuals (n=3) and hearing individuals (n=6). The questions about the authenticity of sign language included the commonalities between sign language and other languag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sign language from other languages, the timing and experiences of sign language acquisition, and positive experiences of feeling sign language as their own langu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gn language users reported that sign language, as a visual language, offers unique advantage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languages. They also noted that sign language is an important tool for finding ident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inner world, and a way to connect with the Deaf commun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gn language holds a sense of authenticity as a language for its users, similar to spoken languag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홍임. (2024).농인과 청인이 생각하는 수어의 진정성: 소통을 통한 정체성의 발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5 (2), 123-138

MLA

신홍임. "농인과 청인이 생각하는 수어의 진정성: 소통을 통한 정체성의 발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5.2(2024): 123-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