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인식이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발달에 미치는 구조 관계

이용수  43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af School Teacher’s Sign Language Recognition and the Development of Syntax, Semantics, Pragmatics
발행기관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최성규 김혜진 박은주
간행물 정보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인식이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발달에 미치는 구조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수어 인식 5문항, 통사론 발달 5문항, 의미론 발달 5문항, 화용론 발달 5문항으로 모두 20문항을 개발하였다.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교사 19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자료처리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인식은 통사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였지만, 의미론과 화용론 발달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통사론 발달은 의미론과 화용론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의미론 발달은 화용론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인식이 의미론과 화용론 발달에 영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사론 발달이 매개효과로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수어 발달은 순차적인 계급구조이며,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학습을 위해서는 통사론 발달이 전제되어야 함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urvey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af school teachers’ sign language recognition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20 questions, including 5 questions on sign language recognition, 5 questions on syntax development, 5 questions on semantic development, and 5 questions on pragmatics. 199 teachers from deaf school across the country responded to the survey. Data processing was appl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 language recognition of deaf school teachers was a structure that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yntax, but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of semantics and pragmatics. Second, the syntactic development of deaf school teachers had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emantics and pragmatics. Third, the development of semantics among teachers at schools for the deaf had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pragmatics. Fourth, in order for the sign language recognition of deaf school teachers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emantics and pragmatics, the development of syntax acts as a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ign language development is a sequential hierarchical structure, and that syntactic development is a prerequisite for deaf school teachers’ sign language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규,김혜진,박은주. (2024).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인식이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발달에 미치는 구조 관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5 (2), 1-17

MLA

최성규,김혜진,박은주.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인식이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발달에 미치는 구조 관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5.2(2024):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