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학생의 소통적 욕구를 반영한 특수교사의 수업 몸짓 언어 사용 특징
이용수 46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 of Class Gesture Language Reflecting the Communicative Desi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5권 제2호, 59~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지 및 언어발달에 결함을 가지고 있는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경우에는 언어 이외의 요소들을 수단으로 한 의사소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총 8개 수업 영상을 대상으로 특수교사가 수업에서 사용하는 몸짓 언어를 유형과 기능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몸짓 언어의 유형별 빈도수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지시적 몸짓이 전체 몸짓의 70.5%로 가장 많은 출현율을 보였으며, 도상적 몸짓과 기타 몸짓이 각각 12.8% 그리고 은유적 몸짓이 2.6%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몸짓 언어의 기능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기능, 강조 기능, 정의적 기능 그리고 화자 중심 표현 몸짓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 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교사의 수업 몸짓 언어의 유형과 기능에 주목하고, 몸짓 언어의 교육적 가치를 제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In the case of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deficiencies in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ommunication using elements other than language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Therefore, in this paper, a total of eight class videos were analyzed after dividing the gesture language us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lasses by type and by function, respectively.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frequencies of gesture language by type were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directive gestures showed the highest appearance rate at 70.5% of all gestures, followed by iconic gestures and other gestures at 12.8% each, and metaphorical gestures at 2.6%. The functions of gesture language, which i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ere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unctions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ve function, emphasizing function, affective function, and speaker-centered expressive gestures. We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illuminate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achers' instructional gestures that are mos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rve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educational value of gesture languag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