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ISCA를 활용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공격행동과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49
- 영문명
- The Effec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Using IISCA on Aggressive and Communica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김영준 최진오 구태우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1권 제2호, 27~5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IISCA를 활용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와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의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폐성장애 아동 2명을 대상으로 IISCA를 활용하여 공격행동의 기능을 분석하고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기능분석, 기초선 측정, 중재, 유지 4단계로 나누어 총 26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중재의 효과성을 더하기 위해 촉구를 최대-최소전략으로 제공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두 아동 모두 중재기간과 유지기간에 기초선과 비교하여 공격행동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IISCA를 활용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공격행동 감소 및 유지,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의 증가와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IISCA를 활용한 행동중재가 충분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기능분석 방법 도입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FCT) using Interview-informed Synthesized Contingency Analysis (IISCA) on the aggressive behavior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functions of aggressive behavior in two children with ASD were analyzed using IISCA,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as implemented us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26 sessions, divided into four phases: functional analysis, baseline measurement,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mpting was provided using a most-to-least strateg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baseline, both children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aggressive behavior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during both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using IISCA is effective in reducing and maintaining reductions in aggressive behavior, as well as in increasing and maintaining 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interventions using IISCA, thereby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introducing a new method of functional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