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학대 사건 중 자녀 살해 후 자살에 대한 신문 기사 분석: 가해자 특성에 따른 자녀 살해 경향
이용수 213
- 영문명
-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suicides following child murder in child abuse cases : Patterns based on perpetrator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김지혜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5권 제2호, 95~12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의 전반적인 발생 현황과 가해자 및 피해자 특성, 범행 이유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신문 기사에 나타난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언론에 보도된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은 총 160건이었으며, 자녀를 살해한 가해자는 190명, 피해 아동은 232명이었다. 둘째, 자녀를 살해한 가해자는 부에 비해 모가 더 많았고, 연령은 40대가 가장 많았으며, 피해 아동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더 많았고, 연령은 2-7세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자녀 살해 후 자살 이유로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정신건강 문제의 순이었다. 넷째, 부 단독 범행과 부모 공동 범행의 경우는 경제적 문제가, 모 단독 범행의 경우는 정신건강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의 예방 및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suicide cases following child murders reported in newspaper articles to determine the overall incidence,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s and victims, and the reasons for such cri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60 such cases were reported in the media from 2014 to 2023, involving 190 perpetrators and 232 child victims. Second, the perpetrators who killed their children had more mothers than fathers, and the majority were in their 40s. Among the child victims, boys outnumbered girls and most were between the ages of 2 and 7 years. Third, economic problem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reason, followed by mental-health problems. Fourth, in cases involving only fathers or both parents, economic problems were the main cause, while in cases involving only mothers, mental health problems were the main caus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and addressing suicides that occur after the murder of a child.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