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손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및 학습ㆍ생활관리 특징을 통해 본 학부모 역할 수행의 과제
이용수 146
- 영문명
- The task of performing the role of parent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 learning management, and life management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in grandchildren's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김은정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11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손가정에서 전담 양육을 하는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및 학습․관리 특징을 도출하고 그들의 학부모 역할 수행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의 조손가정 조부모 5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손가정 조부모의 양육경험은 ‘돌봄’과 ‘학습ㆍ생활관리’에 대한 것들이었다. 둘째, 조손가정 조부모들은 손자녀 의식주와 생활 속 모든 것 챙기느라 수고하며, 손자녀들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성장을 위한 돌봄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셋째, 조부모들은 ‘학습습관과 학습관리를 비롯해 학부모 역할에서 겪는 어려움’, 그리고 ‘손자녀의 방과 후 시간 관리 과정에서 느끼는 걱정과 불안’을 경험한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조부모가 성공적인 학부모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grandparents' grandchild care, learning, and management, which are exclusively raised in grandparents' families, were derived, and tasks to be performed for their role as guardians were discussed. To this end, five grandparents from grandchildren's families in Chungcheongnam-do were interview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method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encompassed 'care' and 'learning and life management'. Second, grandparents of grandchildren's family are struggling t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s food, clothing, and daily care, and they experience challenges in supporting their grandchildren's physical, emotional, and socio-cultural development. Third, in the "learning and life management" experience, grandparents encounter “difficulties in performing parental roles, including managing learning habi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worry and anxiety related to managing and guiding their grandchildren's daily l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asks for grandparents to successfully fulfill their roles as primary caregiv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조손가정 조부모의 학부모 역할 수행의 과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