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리터러시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이용수 378
- 영문명
- Influence of retirees’ cognitive flexibi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윤 홍아정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7권 제2호, 65~9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퇴직 예정자를 대상으로 인지적유연성이 디지털리터러시를 매개로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중장년 퇴직 예정자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유연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디지털리터러시는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를 일부 매개한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인지적유연성과 디지털리터러시 사이에서 일부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사회적지지로 일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진다.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예정자의 심리적안녕감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의 노력을 비롯하여 기업 및 사회 차원의 인지적유연성 개발을 위한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전직지원서비스 및 생애설계 교육에서는 퇴직 예정자가 디지털리터러시를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퇴직예정자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높은 수준의 관심과 실행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퇴직 예정자의 심리적안녕감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인지적유연성 향상을 위한 개인 및 조직 그리고 정부 단체 각각에 맞는 실천 노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tirees’ cognitive flexibility on their well-being, and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collected from 331 retire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6.0 and AMOS 26.0.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igital literacy partially mediates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some moderating effect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s a partially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y social support. The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ability can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by strengthening realistic social suppor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