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Z세대 미디어 활용 및 음악 소비 실태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이용수 96
-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Generation Z’s Media Utilization and Music Consumption Statu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고대희 오지향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8권 제2호, 155~16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Z세대의 미디어 활용 실태와 음악소비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음악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Z세대의 개념과 미디어 활용 특성 및 음악 소비행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Z세대 고등학생 12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 하는 Z세대의 소통방식, 학습 경험 및 선호도를 학습 과정의 중심에 두고 학생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Z세대의 미디어 활동실태를 분석한 결과, 소셜 미디어를 음악교육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셋째, Z세대가 대중음악이나 대중 문화를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현상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참여하고 몰입할 수 있는 학습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넷째, 온라인 협업 도구를 통한 그룹 프로젝트나 토론을 장려하는 협력적 학습형태를 통해 Z세대의 개인화된 학습 경험이나 개인화 과정을 완충하고 조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Z세대 혹은 미래 세대 학습자의 세대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체계적으로 하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음악교육에서도 세대적 특성을 연계한 음악교육방법에 대한 다각도의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 usage and music consumption status of Gen Z,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survey was conducted on 123 high school students from Gen Z, and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ioritizes the communication methods, learning experiences and preferences of the highly media-savvy Gen Z to maximize their potential. Second, an analysis of Gen Z’s media activities revealed that social media can be actively utilized in music education. Third, considering how Gen Z embraces popular music and culture, it is essential to apply learning methods that engage and immerse students. Fourth, collaborative learning formats that encourage group project and discussion through online collaborative tools can buffer and adjust the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of Gen Z.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ongoing efforts to systematically ground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Gen Z or futures generations of learners, and confirms the necessity for a multifaced discussion on music educaton methods linked to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