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교육실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4

영문명
Recognition of the compet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impa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학 최성보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8권 제1호, 133~15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교육 실천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문화 교육 하위 역량 중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 다문화 관련지식, 다문화 교육기술 순으로 다문화 교육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다문화 연수경험, 교육경력, 학력,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자율적인 장학협의체, 특수학교 사정에 맞는 연수프로그램,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교과목 개설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실천가인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 about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argeting capabilities How does this affect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aware of these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The subjects were surveyed 350 people who are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Studies have shown that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actices and static correlation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among the sub-competencie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has had a. Especially in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education, multicultural student instruction experience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ived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teacher. Therefore, special education autonomous competence of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cholarship Council, a special training program for school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open such a course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take measure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학,최성보. (2015).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교육실천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연구, 8 (1), 133-150

MLA

김영학,최성보. "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교육실천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연구, 8.1(2015): 133-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