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편견적 다문화 교육 시각에서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Textbook in point of Non-Prejudice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조태현 김경식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2권 제1호, 99~12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글로벌화된 지구촌은 우리에게도 단일민족이라는 전통과 혈연중심의 민족주의는 이제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고, 단일성이라는 오랜 믿음과 정체성은 과거의 유물로 전락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인종의 유입은 ‘다름’과 ‘차이’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재사유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다름’과 ‘차이’에 대한 소통으로서 우리사회의 담론인 다문화주의 수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교과목이라고 할 수 있는 제7차 중등미술교과의 7종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적 요소,작품,시각이미지 살펴봄으로서 현재 다문화 교육의 주소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 관련 내용이나 도판은 출판사나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관련 도판은 특정지역이나 국가에 국한되어 있다. 즉 양적인 면에서 서양작품이 비서양작품에 비해 많이 소개되어 있으며,서양의 작품들은 미적체험,표현,감상 등 3영역에서 고루 중요한 도판으로 예시되어 있지만,비서양은 주로 미적체험 영역에서 전근대적인 문화재나 전통적인 미술품을 소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Multiculturalism derives from raci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American. With changes of the times, a global village makes us face troubles of tradition and nationalism involving homogeneous and consanguinity. And a trust of great antiquity involving the unity and an identity degenerated into a relic of the past. Furthermore, considering comprehension and respect about 'difference' and 'gap' is required due to inflow of diverse race. As this connection about 'difference' and 'gap', it could be calle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which is reflected our society. In accordance that,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referred for this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ducation has understanding of diverse cultures, getting equal opportunities of education. It has been defined as process involving important purposes of education which develop affirmative attitude, recognition, wiping out prejudice and conduct about diverse cultures. Therefore this thesis could estimate recent locations, by researching diverse elements, works and visual images which are represented in 7 kinds of textbooks (At 7th subject of middle grade arts). This operates as a contextual means for unity purpose of subject. It could make schools construct global village as educating students recognition,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And it is effort for exploiting curriculum which contents culturally, racially, socially diverse requiremen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다문화교육의 사회적 수용
Ⅲ. 단원(單元)과 시각이미지(圖版)에 내포된 다문화적인 요소
Ⅳ.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가족의 얼굴들 -김여령, 『완득이』(창비, 2008)-
- 나가사키대학(長崎大學)의 다문화이해교육
- 중학교 사회 수업에 대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경험 이해
- 반편견적 다문화 교육 시각에서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 상담의 윤리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적 접근
- “We just have different colors”: Enhancing Student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Through International Field Experience
- 인권관점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평가 준거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