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대처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7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Barriers and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ping Efficacy of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선곡유화 서우석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4권 제2호, 73~10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개념적 가설 모델(CB Model)을 설정하여 적합도를 검증하고 둘째,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를 밝히고 셋째, 다문화 초등학생의 CB Model 내에서 자존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세부 목표를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의 다문화 학생 200명이었으며, 유의표본 추출법으로 표집하고 이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다문화 초등학생의 CB Model은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CB Model 내에서 사회적 지지는 자존감,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자존감은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대처효능감과 진로장벽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대처효능감은 진로장벽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 초등학생의 CB Model 내에서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 사이에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확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대처효능감 간의 구조관계에 대한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barriers (CB),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ping efficacy of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multicultural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efficacy, coping efficacy, and CB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ping efficacy have direct effect on CB of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in CB Model,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d an indirect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CB. Based on major findings, som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국문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