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파워링 리더십이 대기업 근로자의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63
- 영문명
-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Retention Intention: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한슬 이윤수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5권 제2호, 205~2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재직 의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25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재직 의도와 정(+)적 관계가 있었다. 둘째, 인지 크래프팅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재직 의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지각된 과잉자격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재직 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넷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재직 의도의 관계에서 과업 크래프팅과 관계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는 지각된 과잉자격에 의해 조절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의 재직 의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조직 내 방안 및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e., task crafting, cognitive crafting, and relational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retention intention, as well a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325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administered to employees in large domestic corporation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findings: (1) empowering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tention intention; (2) cognitive craft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retention intention, (3) perceived overqualific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retention intention; and (4) the mediating effects of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were moderated by perceived overqual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retention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vide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policies aimed at enhancing employee retention and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 교육훈련의 시장 실패와 정부 개입의 효과 분석
- 조직문화 측정도구(Organizational Culture Dimension; OCD) 타당화 연구
- 직무요구자원(JD-R) 모형을 기반으로 한 기업체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전직지원서비스 제공 여부에 따른 다집단 경로분석
- 기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교수체제설계(RPISD) 모형 적용 및 개선
- 임파워링 리더십이 대기업 근로자의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 팀 역할 측정도구(TREO Short Version)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 멘토링 기능과 이직의도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 Rasch 모형을 활용한 적응수행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 국내 HRD환경에서의 경력적응성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