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Presenting 연구
이용수 162
- 영문명
- The Concept of Presenting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재근
- 간행물 정보
- 『초등교과교육연구』제39호, 65~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new terminology of ‘presenting’ in the English subject matter and to comprehend a way of how to applied such a skill of presenting in the digital textbooks. The 2022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required primary students to get their digital literacy through the skills of ‘viewing’ and ‘presenting.’ Students will learn such a skillful technology as both skills mananging various kinds of learning items displayed in the digital textbooks. Sever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found out from one of the sample digital textbooks developed by KERIS are as follows: first, each lesson has a lot of contents as a form of video clips for viewing and presenting activities. Second, each lesson has such items as form of sound and visual mode and students can activate whenever they want to learn. Third, each lesson has contents suitable for a standard of student learning. Fourth, each lesson has new or inexperienced technological terms for students to learn for viewing or presenting activities. Finally, each lesson has an educational software program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digital literacy. In short, the term of presenting seems to be an integrated skill of digital literacy to view English contents and speak and write what they want to express their creative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in English. In other words, the presenting in elementary English subject matter seems to be an integrated learning skill to express what students think creatively in digital tools by using computer technology. Students need to have enough time and chance to experience digital technics in before class.
목차
Ⅰ. 들어가며
II.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Presenting’의 개념
III. 초등영어 교과교육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기능
Ⅳ.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제시하기
V. 맺으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