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음악수업에 따른 한국음악인지능력검사(KTMC) 결과 비교 연구 -서울 A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83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the KTMC Test Result According to Non-face-to-face Music Classes Caused by COVID-19 -Focusing on the 6th grade of Seoul A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저자명
- 손영혜
- 간행물 정보
- 『초등교과교육연구』제39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music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2015 and 2021 Korea Test of Music Cognition(KTMC) of sixth graders at Seoul A School.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he results of 478 copies conducted at the same school and the same grade with a 6-year time differ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M) in 2015 and 2021, it was found to be lower. Second, the average score of each sub-area (tonal, rhythm, and melodic lines) was also lower in 2021 than in 2015.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andard deviation (SD) in the test results, the standard deviation in 2021 was lower than in 2015. Overall, the music cognitive ability of sixth graders at Seoul A Elementary School, which was examined by the Korea Test of Music Cognition(KTMC), was slightly lower in 2021 than in 2015, and the variation in music cognitive ability between students decreased. This study raised the possibility that students' music cognitive ability may have decreased somewhat after the COVID-19 perio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and curricula to recover this, a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apply them to music subjects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