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ㆍ어촌지역 청소년들의 경제가치관 조사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search on the Rural Teenagers` Economic Values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안영후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11권, 187~2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조사연구를 통해 나타난 농 • 어촌지역 청소년들의 경제가치관 은 다움과 같다. 경제현실관: 가정의 생활수준에 대한 불만이 매우 높으나, 대한민국사회는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는 민주사회라고 인식하고 있다.
직업관: 직업선택의 기준으로 자아실현의 가능성과 보수 그리고 근무의 자율성을 중시하고 있다.
경제사회관: 우리경제 발전의 최고 기여자는 노동자이며, 우리경제 침체의 원인제공자는 정치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한미 FTA협정체결을 부정적으로 받아드리고 있다.
소득분배관: 계층간의 소득격차문제에 매우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으며, 분배의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특단의 조세정책이 필요하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경제미래관: 우리경제의 발전을 낙관하고 있으나, 빈부격차문제와 청년실업문제의 해소 전망에 대해서는 매우 비관적 시각을 갖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nalyses the economic values of the young, especial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and sea villages. It investigated what characteristics of their economic situations are, which individual factors, such as sex, education, school quality, etc, affect them, and where their differences come from. For the purpose I conduct this research and analyse the results. The economic par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extbooks are categorized into 6 subparts, that is, their views on wealth distribution, their views on their economic future. As the samples, I selected 300 2nd-year boy/girl students from 2 middle/high schools respectively in agricultural/sea villages in Jeju.
The question is made of 5 sections with 15 questions at all, analys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higher education and the richer, the more satisfied. Most of them think our country is so democratic that they will be able to succeed through efforts, and effort is the most important.
Second, their view on jobs is that the 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and the amount of income are the important factors when they choose jobs.
Third, they mostly think the primary factor for economic development is labor while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has been caused by international economic situations and our country's political leaders. In addition, they object to FTA (Free Trade Agreements) between Korea and the US,
Fourth, in contrast with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have very negative ideas about rich-poor polarization in our country.
Fifth, many students have positive prospect about our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y negatively perceive the rich-poor unbalance and the young jobless, which is somewhat contrary to their positive view on our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결과 및 논의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