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관리자의 지도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Leadership of Women Managers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박선하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5권 제2호, 159~1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of women managers analying many studies, to transfer social perception on women managers,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women manpower. In order to ach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areas of the study were established: 1) Male-female differences in leadship style; 2) Success and effectiveness of women leaders; and 3) Moder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task.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Women were more likely to seek interpersonal success in groups, in contrast to men`s greater concern for being successful in the task. Women focus more on maintaining harmony, whereas men concentrate on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 performance. Democratic women emphasized being helpful, affectionate, nurturing, open minded, and accepting blame; democratic men emphasized being mature, forceful, competent, utilitarian, analytical, and valuing people.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blur if one contrasts women and men who already have achived status ad leaders. In a majority of cases,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leaders are more a matter of stereotyped expectations than actual fact. Although women managers behave the same way as their male counterparts and have the same effects on their groups, they are likely to be evaluated differently. Sex differences in leadership depend on the group and the situation. the sex of both the supervisor and the subordinate determine the group`s performance. However, when differences between the success and effectiveness of the leadership of men and women do occur, they may be due partly or fully to differences in other moderating factors, such as the men`s and women`s age, education, experience, level in the organization, and extent of professional training.
목차
I. 서론
II. 리더쉽 유형에서 성별의 차이
III. 여성 지도자의 성공과 효과
IV. 구성원과 과업에 따른 지도성 효과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