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ocial Innovation: Thinking about Changing the System
이용수 2
- 영문명
- Social Innovation: Thinking about Changing the System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Jay J. Caughron Amanda S. Shipman Cheryl K. Beeler Michael D. Mumford
- 간행물 정보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제19권 제1호, 7~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mplex social systems are increasingly faced with dynamic, emergent changes in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exist. Some social systems appear to implement changes that allow them to adapt to their environment while others seem to struggle. There is reason to suspect that the application of mental models by multiple individuals across a given social system may influence the detection of change events as well as the nature of a social system’s response (or lack thereof) to changing conditions. It is argued that the analysis of causal variables, the availability of relevant case-based knowledge, and the motivation to pursue social change will influence an individual’s ability to design and promote a social change effort as well as others’ responses to it. Implications for complex social systems, such as organizations, are discussed.
목차
THE COGNITIVE MECHANISMS OF SOCIAL INNOVATION
KNOWLEDGE STRUCTURES
COGNITIVE PROCESSES
CONCLUS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troduction
- The Evolution of Evolvability Applied to Human Creativity
- Introducing the Problem Attribute Typology (PAT) Tool for Designing Instructional Problems
- Russian and American Perspectives on Self-regulated Learning
- Problem Solving: A User-Oriented Approach in Public Affairs
- Social Innovation: Thinking about Changing the System
- Choking and Excelling at the Free Throw Line
- Children’s Conceptions of Thinking: Developing Thinking Skills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 An Interview with Cecil R. Reynold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