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ategories of Data in Meaning-Centered Research
이용수 0
- 영문명
- Categories of Data in Meaning-Centered Research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John Bryant
- 간행물 정보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제10권 제1호, 39~4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sychological research and psychologists are so deeply invested in a statistical mode of thinking that the human aspects of research are virtually ignored. Statistics catalogues events, not processes, force-fitting them into mathematics. The following essay shows that the data of consciousness is more deeply descriptive of people than data of sense. Our cognitive structure is an example of data of consciousness. Since our cognitive structure includes the scientific paradigm as one of its operational levels, survey analysis is kept in perspective. The study, properly placed in the larger human scheme, is much smaller and less interesting than commonly ascribed. Contained within this examination is a vocabulary and meaning system for doing research that more fully describes the human condition, thus provides practitioners and clients better methods of healing.
목차
PROFESSIONS, STUDIES AND SCIENTIFIC METHOD
THE DATA OF CONSCIOUSNESS: DISCOVERY OF BIAS
THE LOCUS OF MEANING
THE DATA OF CONSCIOUSNESS: AN EPISTEMOLOGY OF MEANING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ing Style, Philosophical Orient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U.S. Public Schools
- Teaching Creativity: Singapore's Experiences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ur Vision Deficiency and Creativity of Design and Technology Students
- The Millennium: A Time for Looking Forward and Looking Back
- Categories of Data in Meaning-Centered Research
- Dialectical Systems Thinking for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 An Interview with Robert Sternberg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