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코로나 시대 증거기반 교육정책을 위한 교육정치학적 쟁점과 과제
이용수 283
- 영문명
- A Study of Issues and Tasks on Evidence-Based Education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모영민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2호, 27~6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 부문에서 증거기반 정책의 비판적 쟁점 검토가 부재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증거기반 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탐색하고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학력 저하와 디지털 전환 등 주요 교육 의제에 대해 교육정치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인 쟁점을 제시하였다.
학력 저하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평가 정책의 정치적 맥락성, 증거의 불확실성과 권력의 오용, 당면한 교육 정책 환경과 평가 간의 불합치 문제 등의 쟁점이 제시되었으며, 디지털 전환 의제에 대해서는 유관 정책의 맥락성과 구체성, 데이터 권력의 개입과 의사결정 판단의 예속, 교육의 데이터화로 인한 공공 가치 저해 등이 쟁점으로 제시되었다. 도출된 쟁점들을 바탕으로 증거기반 교육정책을 위한 정책적, 학술적 측면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evidence-based policy and presents critical issues from an educational political perspective on major educational topics such as decli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st-COVID era. The study highlights the lack of critical scrutiny of evidence-based policies in the education sector. Regarding the problem of declining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identifies issues such as the political context of achievement assessment policies, the uncertainty of evidence and abuse of power, and the mismatch between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y environment and achievement assessment policies. Regarding the issu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study presents
issues such as the context and specificity of relevant policies, the intervention of data power and the subordinate decision-making, and the devaluation of public value due to the datafication of education organization. Based on the critical issues
identified, the study suggests policy and academic tasks for effective evidence-based education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교육 부문에서의 증거기반 정책
Ⅲ. 포스트코로나 시대 증거기반 교육정책을 위한 교육정치학적 쟁점
Ⅳ. 포스트코로나 시대 증거기반 교육정책을 위한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