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음악과 진로교육에 관한 음악교과서 분석 및 교사인식 연구
이용수 265
- 영문명
- A Study on the Music Textbook Analysis and Teacher Perception in Elementary Music Care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송이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2권 제2호, 209~2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5, 6학년 음악교과서 내 진로교육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음악과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음악과 진로교육의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의 ‘2015 학교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4개 영역에 따라 음악교과서 8종 16권을 분석하고, 초등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음악과 진로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 내 진로교육은 총 212건이었고 ‘일과 직업세계 이해’ 영역 비중이 가장 높았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음악 관련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다양한 매체와 체험학습 등을 활용한 진로지도 프로그램과 음악 교과서 내 진로 학습자료의 개발을 기대하였다. 또한 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교과서 내 초등 이후의 음악 관련 학습 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music and career education by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usic and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or grades 5 and 6. To this end, 16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area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usic and career education among 162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showed 212 cases of career education in the textbook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work and the world of work.’ Most teachers felt the need for music-related career education. They expected the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programs using various media and experiential learning, as well as career learning materials in music textbook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music, and it is necessary to guide music-related learning paths after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3 한일음악교육실천교류회 보고서
- 메타버스 SPOT에 기반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안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 음악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초임 중등 음악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경험과 지원 방안 탐색
- 현대 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과교육 방향 연구
- 중국 음악교육의 변천과 ‘2022 예술교육과정’의 고찰에 바탕을 둔 중국 음악교육의 동향 탐색
- 교육실습학기제 준비를 위한 예비 음악교사의 인식 연구
- 음악과 미디어 융합선택과목내용 개선 방향 탐색 연구
- TPACK 기반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질적 고찰 사례 중심으로 -
- 중등음악교사의 음악적 능력과 교수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교사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음악과 진로교육에 관한 음악교과서 분석 및 교사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