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과 미디어 융합선택과목내용 개선 방향 탐색 연구
이용수 74
- 영문명
- The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Content and Improvement on Music Media Elective Cours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미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2권 제2호, 135~15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미디어 과목 내용을 탐색하여 음악 미디어 학습 내용을 개선하고 학습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함에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음악과 미디어>융합선택과목의 성격과 목표, 성취기준 진술내용과 캘리포니아 주 2019년 에 신설된 Media Art 과목 내용을 탐색하고 비교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들을 내용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음악과 교과과정 융합선택과목 <음악과 미디어>의 교수학습 방향과 과목 내용의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팬데믹 이후 학생들이 음악미디어를 활용하여 음악을 배우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디지털 음악학습 내용과 활동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uggestion that implication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content and expanding music media learning content by exploring music media cours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that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of the Music and Media subject. Moreover it is comparing the Music and Media Art subjects in the curriculum with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urriculum documents, dra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is regard,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ional perspective and improvement were achieved by exploring and comparing the overview,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Music and Media elective course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Korea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instructional perspective and improvements for all students to learn digital music.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IV. Instruction and Content in Music Media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3 한일음악교육실천교류회 보고서
- 메타버스 SPOT에 기반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안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 음악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초임 중등 음악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경험과 지원 방안 탐색
- 현대 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과교육 방향 연구
- 중국 음악교육의 변천과 ‘2022 예술교육과정’의 고찰에 바탕을 둔 중국 음악교육의 동향 탐색
- 교육실습학기제 준비를 위한 예비 음악교사의 인식 연구
- 음악과 미디어 융합선택과목내용 개선 방향 탐색 연구
- TPACK 기반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질적 고찰 사례 중심으로 -
- 중등음악교사의 음악적 능력과 교수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교사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음악과 진로교육에 관한 음악교과서 분석 및 교사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