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음악교사의 음악적 능력과 교수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교사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5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Musical and Teaching Confidence Level of Secondary Music Teachers on the Resilience of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박하나 최진호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2권 제2호, 41~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음악교사들을 대상(n=242)으로 본인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음악적 능력과 교수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교사회복탄력성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교육부 통계 서비스에서 전국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단순무선표집을 실시하여 360개의 학교를 선정하였고, 해당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중, 온라인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음악적 능력과 교수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교사회복탄력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의 교수능력과 음악적 능력 간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3). 둘째, 음악교사가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이 강할 때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2.27, p>0.5). 셋째, 음악교사의 교수능력과 음악적 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 (2, 239) = 47.76, p<.01).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musical and teaching confidence level on their resilience, targeting music teachers (n=242) in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imple random sampling of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o select 360 schools based on the 2022 statistics servi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Among the teachers working at the 360 schools, confidence in musical ability and teaching ability and teacher resilience were measured for music teache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music teachers' teaching and musical confidence level (r=.63). Second,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increased when music teachers had a strong identity as educators (t=-2.27, p>0.5). Third, it was found that music teachers' confidence in teaching ability and musical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resilience (F (2, 239) = 47.76, p<.01).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3 한일음악교육실천교류회 보고서
- 메타버스 SPOT에 기반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안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 음악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초임 중등 음악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경험과 지원 방안 탐색
- 현대 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과교육 방향 연구
- 중국 음악교육의 변천과 ‘2022 예술교육과정’의 고찰에 바탕을 둔 중국 음악교육의 동향 탐색
- 교육실습학기제 준비를 위한 예비 음악교사의 인식 연구
- 음악과 미디어 융합선택과목내용 개선 방향 탐색 연구
- TPACK 기반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질적 고찰 사례 중심으로 -
- 중등음악교사의 음악적 능력과 교수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교사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음악과 진로교육에 관한 음악교과서 분석 및 교사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