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IE-B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EM 도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32
- 영문명
- The Effects of Mediated Learning Experience through Feuerstein's Instrumental Enrichment Basic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Verbal Express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주희 황희숙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8권 제2호, 107~12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FIE-B(Feuerstein's Instrumental Enrichment Basic) 프로그램의 9가지 도구들 중 정서표현을 해석하고 감정의 사회적/행동적 상호 관계를 이해하며 감정을 일으키는 요소들을 찾는데 초점을 둔 EM(Identifying Emotions)도구를 통한 중재학습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을 연구대상으로 두 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총 18회기의 처치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FIE-B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경험은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의 일부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FIE-B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정의적 발달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다. 또한, 특수 아동뿐만 아니라 일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FIE-B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경험의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여 준 연구라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ediated learning experience through FIE-B Program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verbal expression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young children aged 5 at D kindergarten in Busan. They were arranged randomly into either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post-test scores.
The result suggested that, Feuerstein's FIE-B Program i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verbal expression abilit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초등 학습부진아와 일반아의 학업동기와 학습전략 특성 비교
- 유아놀이지도에 대한 팀 기반 학습 (Team-Based Learning)의 효과 - 학습태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 R. M. Hare의 황금률 논증에 의한 도덕판단의 정당화 방법 연구
-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시간 관리에 미치는 효과
- FIE-B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EM 도구를 중심으로
- 아동의 귀납적 사고의 다양성 효과
- 한국과 대만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영어 학습활동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