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f Learner Perception of Educational Utility of Narrative Storytelling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강문숙 김석우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8권 제2호, 83~10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에 대한 학습자 경험이 교육적 측면에서 활용 가능한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즉, 학습자들이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을 이해하고 직접 스토리텔링을 제작해 보도록 한 후, 교육적 효용성에 대해 학습자 인식을 살펴보고, 학습자 인터뷰와 성찰일지를 통해 강점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과 사례를 토대로 하여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교수학습방법을 설계하여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대학수업에 적용하여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고, 이후 학습자들의 반응에서 교육적인 강점과 개선점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 종료 후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적 효용성 하위영역인 지식정 보창출과 학습효과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결과, 강점은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과제 제작 경험에서 주어진 과제에 따라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독창적인 결과물을 창조해내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셋째,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은 교육용 콘텐츠의 활용가치가 있어 교육적으로 유용하고, 교육적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한편, 개선점은 과제제작 시간 부족, 컴퓨터 활용 능력 부족, 회의시간의 불일치, 과제제작을 위한 저작도구 방법, 구체적인 스토리구성 전략방법을 등에 대해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learners perceive the educational utility of narrative storytelling. For this purpose, learners were asked to create educational narrative storytell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learner’s perception regarding the educational utility of narrative storytelling enhance after their experience of making narrative storytelling. This study design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strategies using narrative storytelling based on the existing theoriesand practices, and develops a narrative storytelling process.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from learners’ performance and opinions. As a result, it is indica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narrative storytelling has the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Especcially, they seem to perceive narrative storytelling enhanced after their experience of making educational narrative storytelling. Several strategies such as specific strategies of making story, enough time of making story, computer using skills were suggested to improve narrative storytelli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초등 학습부진아와 일반아의 학업동기와 학습전략 특성 비교
- 유아놀이지도에 대한 팀 기반 학습 (Team-Based Learning)의 효과 - 학습태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 R. M. Hare의 황금률 논증에 의한 도덕판단의 정당화 방법 연구
-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시간 관리에 미치는 효과
- FIE-B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EM 도구를 중심으로
- 아동의 귀납적 사고의 다양성 효과
- 한국과 대만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영어 학습활동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