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체육에서 가상 현실 적용
이용수 87
- 영문명
- An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VR) in School Sports: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김의재 강현욱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1권 제2호, 119~1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동안 국내에는 학교 체육에 있어 가상 현실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는데, 이들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체육에서 가상 현실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총 12편의 연구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분석틀(연구 대상, 연구 방법, 콘텐츠 내용 및 유형, 교과 영역, 종속 변인, 효과 영역, 주요 연구 결과 등)에 입각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는 모두 초등학생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에서도 중고학년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해당 연구들은 양적 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콘텐츠는 대부분 체육과 교육 과정에 있어 도전 및 경쟁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 변인의 대부분은 심동적 및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많은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hat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Virtual Reality(VR) education in school sports. I collected research papers related to school sports and VR from a domestic academic database, and sorted them based on subject criteria for analysis. A total of 12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se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types of VR content, dependent variables, domain of dependent variables, and main findin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research methods was high. Third, most studies used V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hallenge and competition areas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urth, most studies used dependent variables corresponding to emotional and affective areas. Finally, many studies have shown positive results, but some studies have not shown significant results. In conclusion, this paper discuss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virtual reality education in school spor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행동이론의 확장
- 한국과 미국의 생존(안전)수영 교육현황에 관한 탐색연구
- 대학교양체육 교수자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좋은 수행을 위한 심리·인지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학교 체육에서 가상 현실 적용
-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 탐색 연구
-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태권도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의 전략적 발전방안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여가교육정책에 관한 소고
- 한국무용 브랜드자산이 관계지속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한 Pandemic 시대 홈트레이닝
- 핀란드의 삶의 질 수준과 행복의 의미
-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스트레스전략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