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의 직설 및 반어 표현에 대한 베트남 유학생의 이해력
이용수 102
- 영문명
- Vietnamese Students‘ Comprehension of Direct and Ironic Expressions in Korean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허명진 강소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09~1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일상 표현에서 직설적 표현과 반어적 표현에 대한 이해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이들은 만 21세에서 27세로, TOPIK 2급 이상인 외국인이다. 본 연구에서 검사는 일반 생활 어휘로 이루어진 간단한 문장으로 구성된 20개의 문항이며, 이것은 간단한 설명문 4개와 직설적 표현문과 반어적 표현문을 각 8개씩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베트남 외국인 유학생들은 간단한 설명문을 85% 정도 성취하였다. 둘째, 직설적 표현의 이해력은 74%, 반어적 표현은 21%로, 직설적 표현에 비해 반어적 표현에 대한 이해력이 매우 낮았다. 또한 직설적 표현 중에서는 중의적 의미가 담긴 표현에서 이해력이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 반어적인 표현과 중의적인 어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direct expressions and ironic expressions whose meanings depend on rhyme in understanding daily Korean expressions of Vietnamese foreign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 Vietnames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Busan area. They were between the ages of 21 and 27, foreign nationals with TOPIK level 2 or higher, and no problems with cognition and sensory organs. The test conduc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20 items consisting of simple sentences composed of general life vocabulary, which consisted of 4 simple explanations, 8 direct expressions, and 8 ironic expres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foreign students in Vietnam achieved about 85% of simple explanations. Second, comprehension of direct expressions was 74%, and ironic expressions were 21%, which was very low in comprehension of ironic expressions compared to direct expressions. In addition, among direct expressions, they showed low comprehension in expressions with ambiguous meaning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foreign students need education on ironic expressions and ambiguous vocabulary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