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는 어떠한 딜레마를 경험하는가
이용수 210
- 영문명
- What kind of dilemmas do practitioners experience, helping migrant women who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저자명
- 박주혜 김은정 정세미 정삼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제61집, 121~15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들이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의 양상과 이에 대한 실천가의 대응과 노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 지원기관의 실천가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천가들은 개입의 대상 및 개입의 범위와 관련한 딜레마,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및 안전 문제와 관련한 딜레마, 문화적 차이로 인한 딜레마 등 3가지 범주의 딜레마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딜레마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실천가들은 개입 대상과 범위의 확장, 자기결정 및 안전에 대한 최우선 고려,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존중 노력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of dilemmas practitioners experience, who support migrant women who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what kind of efforts are being made to respond to these dilemmas. To examine these objectives, FGI was conducted on six practitioners from counseling centers and shelters supporting migrant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practitioners to experience three categories of dilemmas: dilemmas related to the target and the scope of intervention, dilemmas related to clients’ self-determination and safety issues, and dilemma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To respond to these dilemmas, practitioners were making efforts to expand the scope and target of intervention, to consider self-determination and safety as the first priority, and to have respect towards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ractitioners who support migrant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Women’s Human Rights Institute of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토픽모델링(LDA)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사업 연구동향 분석 : 노인일자리 종합계획 제1기(2013-2017), 제2기(2018-2022) 중심으로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지역사회 적용 모델 비교 연구 : 서울과 부산 사례를 통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