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속의 나타난 화면의 의미와 상징적 화면구성을 이용한 영상교육 연구
이용수 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and symbolic composition of the screen in the movi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진승현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9호, 69~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n the composition of mise-en-scène, most of the composition of ordinary people's video is short-shot-oriented, and if the magnetic phase is divided into YouTube video for content delivery, and the first stage is the recording-oriented screen composition, it is a short film by a professional video production professional, Documentary screen composition Two-stage professional division, and three-stage visual aesthetic approach. It is a professional approach to screen composition such as aspect ratio, lighting length, symbolism, and artistry. I suggest that you can differentiate. There is still a gap between the content of general non-specialists due to the subtitle of knowledge and technique of video composition, interest-oriented video composition of ordinary people, and the screen composition of professional videographers, which is the third stage. It is a realistic phenomenon that the gap is significantly narrowing compared to the past. It can be seen that the video production, quantity, number of episodes, and resolution a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at supply and demand are equalized through the averaging of the past resolu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he change in the gap creates a new paradigm type, so this study constructs a new screen that can overcome the situation and the real environment. We look forward to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film composition in an easy and convenient way in the video era by presenting the strategic environment and development plan of the film industry.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 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