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입신병의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90
- 영문명
-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Group Art Therapy for New Soldier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윤수진 김영순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1호, 155~1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1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입신병을 대상으로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전입신병 간 공감과 지지를 기반으로 한 군 생활 조기적응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연구문제는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전입신병은 어떤 경험을 하고 어떤 과정을 통해 적응하는가?”이다. 이를 위해 OO 부대에 자대배치 받은 지 2주~1달 반 된 전입신병 9명을 대상으로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를 주 2회, 10회기, 120분간 진행하였다. 이후 경험의 의미를 질적사례연구방법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 5개의 핵심의미, 1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핵심의미는 첫째, ‘명화가 말을 걸어옴’ 둘째, ‘미술활동으로 알아가는 내 마음’ 셋째, ‘자기개방을 통한 군생활적응의 애환’ 넷째, ‘동기애를 느낌’ 다섯째, ‘나를 성찰하며 희망을 향해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입신병이 느끼는 군 생활에 대한 어려움이나 바람 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soed to apply group art therapy by appreciating masterpieces of newly recruited soldiers and to early adapt to military life based on empathy and support among them.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kind of experiences they who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and through what process they adapt?” For this purpose, 120 minute 10 sessions of a appricating paint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nine recruits who assigned to the OO unit for two weeks to one and a half month. Afterwards, the experience meaning was examin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5 core meanings and 18 themes were discovered. Core meanings were as follows: First, ‘a famous artist speaks to me', second, ‘my heart to know through art activities', third, ‘the pain of adapting to military life through self-opening' fourth, ‘feeling a sense of camaraderie' fifth, ‘reflecting on me' moving towards hope.’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amine in depth the difficulties and desires of military life experienced by new recrui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무 스트레스를 겪는 감정노동자들 중 콜센터 상담원을 위한 섬유매체 중심 미술치료: 내러티브 탐구 중심
- 도정신치료와 미술치료에서의 공감에 관한 고찰
- 꿈 이미지를 통한 미술치료사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경증 치매노인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찰흙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2000~2021년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노인의 회상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전입신병의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미술치료사의 미술중재 인식이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수퍼비전의 매개효과
- 의료진의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활용가능성
- 한센병을 가진 여성 노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예술기반 생애사 연구
- 이혼가정 청소년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수묵화 체험 미술치료 사례
- 알코올 중독과 디지털 중독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